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23:13
본문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hwp
잡가의 범주를 설정하고 난 후, 잡가의 장르적 성격과 담당층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며, 그 다음으로 본격적인 12가사와의 관련성을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잡가를 하나의 독립된 시가 양식으로 볼 수 있느냐 하는 것은 계속하여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잡가의 장르 처리 문제에 대하여 유행가로 보는 견해(고정옥), 가사의 하위 범주로 보는 견해(조윤제), 민요로 보는 견해(이병기), 독립된 장르로 보는 견해(김문기)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따 1980년대 이후 논문에서는 대부분 잡가를 독립된 문학 양식으로 다루고 있따
순서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잡가는 그 명칭이 말해주듯 가사, 시조, 민요, 판소리 등 다양한 문학 장르와 혼합되어 나타나는 노래로서 기존의 어느 양식에도 귀속시킬 수 없는 다양성을 포괄하고 있따 이번 project에서는 잡가의 이러한 개방적이며 혼합적인 속성에서 담당층의 성격, 장르적 특징을 12가사와 관련하여 전개해 가도록 할 것이다.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 12가사를 중심으로
설명
.
Ⅱ.
개별 양식으로 독립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그 범위 문제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따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hwp( 27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 그러므로 이러한 12歌詞와 잡가의 교섭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 이번 project의 또 하나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 끊임없이 생성되면서 상황에 따라 變化해온, 우리 시가사에 있어서 가장 생동적이며 개방적인 서민 문학의 한 양식이다. 여기서 歌詞라는 것은 가창 위주의 노래를 일컫는 것으로, 조선 후기 자주 불려지던 12개의 가창된 가사를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잡가의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project 수행의 방향일 것이다.
잡가는 다른 시가 양식처럼 규격화되고 고정된 노래가 아니다. 이는 歌辭의 범주에 속하지만 4음보 위주의 가사체가 아닌 시조창과 비슷한 가창된 가사를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12가사(歌詞)’에 대한 definition 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