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1 08:36본문
Download : 고전시가론.hwp
<고전시가론>
동 동
1. 서론
<동동>은 연대, 작자 미상의 고려 속악가사 중 하나이다.
지금부터 살펴볼 문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동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고려사』「악지」에 관련기록이 보인다. <동동>은「악학궤범」권5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 중에 연희의 구연 방식과 노랫말이 실려 있고, 「대악후보」권7에 악보가 전해진다. 노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되어있으며 첫머리의 서연을 제외하고는 달거리(월령체)로 되어 있다아 서연을 제외한 나머지 연에서는 1월부터 12월까지 각각의 달(월)에 따른 자연環境의 묘사 및 세시풍속의 introduction를 통해 서정적 자아의 심리를 드러내주고 있다아 하지만 작품을 해석함에 있어서 학자들마다 opinion(의견)이 분분히 갈라져 있는 시점이다. 첫 연의 내용은 다른 1월부터 12월까지의 연과 유기체적 결합…(생략(省略))
,기타,레포트
<고전시가론>
레포트/기타
순서






고전시가론
<고전시가론>동동 , 고전시가론기타레포트 ,
설명
Download : 고전시가론.hwp( 84 )
동동
다. 그 논의는 대개 <동동>을 송도의 노래로 보는 입장, 연정이나 상사의 노래로 보는 견해, 송도와 연定義(정이) 결합으로 보는 견해, 첫 수는 송도지사이고 나머지는 상사의 노래로 보는 견해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이는 작품의 내용을 통한 고찰로 볼 수 있는데, 『고려사』「악지」의 기록 “기가사다유송도지사”를 해석함에 있어서 opinion(의견)이 분분함을 알 수 있다아 <동동>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석을 신중히 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