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학기 식물의학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D형(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08:13
본문
Download : 20191중과_농학3_식물의학_D형.zip
접종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식물의 감염에 대해 알아보고, 전염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병원체의 월동처를 제거함으로써 식물병의 발병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이다.
1. 접종원
Ⅰ. 서 론
I. 서 론
2. 전염원
1) 바람에 의한 전반
3) 오염된 토양
II. 본 론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설명
4) 토양에 의한 전반
III. 결 론
Download : 20191중과_농학3_식물의학_D형.zip( 63 )
4) 잡초 및 곤충
1. 접종원
5) 곤충에 의한 전반
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전반에 대하여 설명하라.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접종원 2. 전염원 1) 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3) 오염된 토양 4) 잡초 및 곤충 3. 전반 1) 바람에 의한 전반 2) 물에 의한 전반 3) 종자 및 묘목에 의한 전반 4) 토양에 의한 전반 5) 곤충에 의한 전반 6) 기타 전반방법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식물병의 전염원.hwp 2. 식물병의 접종원.hwp 3. 서론 작성시 참조.hwp 4. 결론 작성시 참조.hwp
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전반에 대하여 설명(說明)하라.
4. 結論 작성시 참조.hwp
6) 기타 전반방법
- 목 차 -
다. 만약 환경조건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 병원체는 휴면상태에 들어간다.
순서
2019년 1학기 식물의학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D형(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Ⅱ. 본 론
병원체는 환경조건에 따라 활동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다양한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병원체의 전반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일 역시 식물병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아 지금부터 접종원, 전염원, 전반의 槪念과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Cause 들을 파악하는 것은 식물병으부터 작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첫 걸음이라 할 수 있다아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식물병의 접종원과 전염원(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오염된 토양, 잡초 및 곤충) 그리고 전반 방법(풍매전반, 수매전반, 종묘전반, 토양전반, 곤충전반, 접목전반, 접촉전반, 작은 동물 및 사람에 의한 전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병원체가 식물까지 이동하는 방식 또한 매우 다양하다. 봄에 새롭게 활동하기 처음 한 병원체에 의해 첫 번째 감염이 이루어지면 이를 1차 감염이라 부르며, 이를 일으킨 접종원은 1차 접종원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이 되면 대부분의 병원체가 월동을 하며, 봄이 되면 다시금 활동을 처음 한다.
1) 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2) 물에 의한 전반
3. 전반
식물의학,방통대식물의학,방송대식물의학,식물의학과제물,식물의학레포트,식물의학과제
3) 종자 및 묘목에 의한 전반
- 중략 -
3. 서론 작성시 참조.hwp
<< 함께 제공되는 참고reference(자료) 한글파일 >>
1. 식물병의 전염원.hwp
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2. 식물병의 접종원.hwp
서지사항
식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병에 걸린다. 식물이 병에 걸리는 Cause 은 매우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