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co.kr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 seminar7 | seminar.co.kr report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 seminar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minar7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5 05:13

본문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고프만의 총체적 기관의 특성(特性)으로 1.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권위 2.수용자들이 매일매일의 생활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짐 3.모든 일과가 꽉 짜여진 스케쥴에 따라 행해짐. 4. 강요된 모든 활동은 그 기관의 formula(공식)적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치밀하게 고안된 합리적 계획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총체적 기관의 유형은 양로원이나 고아원, 정신병원, 감옥, 군대, 수도원등의 형태로 다섯가지로 분류했다. ‘실패자로서의 자아 개념(槪念)’을 부과함으로 궁극적으로 수용자들에 대한 완전한 통제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글을 읽은후 고프만의 사회학적 식견과 그의 analysis력에 놀람을 금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사회학을 처음 한지 얼마 안되는 한국의 사회학과 학부생이 참 작고 편협하며 미약한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총체적 기관의 조직은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뉘어진다. 소규모 감독과 대규모 수용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일탈과 사회통제 시간, 군대와 관련하여 발표를 할때 고프만의 글을 읽었더라면 그렇게 어중간한 …(To be continued )

고프만의상징적상호작용론과사회통제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57 )









고프만의%20상징적%20상호작용론과%20사회%20통제_hwp_01.gif 고프만의%20상징적%20상호작용론과%20사회%20통제_hwp_02.gif



순서
고프만의상징적상호작용론과사회통제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도적 의식의 예를 통해서 감독자와 수용자의 경계선이 약화되는 사회적 상황도 존재하나 그것은 일시적일 뿐, 궁극적인 거리감은 여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이 일단 총체적 기관에 수용되면 개인성을 상실하고 그 environment에 재사회되는 과정을 강요받으며 그 과정을 거치게 된다된다. 그리고 고프만의 글을 이전에 알고 있지 못한 것에 아쉬움도 들었다. 그리고 총체적 기관에서 두 집단 사이의 사회적 거리감은 매우 크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제 방법으로는 자아 굴욕화 과정과 특권 제도의 활용을 들 수가 있다 특징적인 것은 자아의 굴욕화 과정은 정신 병원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총체적 기관들은 예외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총체적 기관
그 구성원들을 일정기간 동안 바깥세계로부터 격리시킨 채 formula(공식)적으로 규격화되고 통제된 생활을 하게 함으로 인간의 개체성을 말살시키려고 시도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전체 18,41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mina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