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일반생물학 test(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0 14:46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hwp
설명
![[자연과학]%20일반생물학%20실험%20-%20기공개폐(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20%EC%8B%A4%ED%97%98%20-%20%EA%B8%B0%EA%B3%B5%EA%B0%9C%ED%8F%90(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1.gif)
![[자연과학]%20일반생물학%20실험%20-%20기공개폐(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20%EC%8B%A4%ED%97%98%20-%20%EA%B8%B0%EA%B3%B5%EA%B0%9C%ED%8F%90(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2.gif)
![[자연과학]%20일반생물학%20실험%20-%20기공개폐(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20%EC%8B%A4%ED%97%98%20-%20%EA%B8%B0%EA%B3%B5%EA%B0%9C%ED%8F%90(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3.gif)
![[자연과학]%20일반생물학%20실험%20-%20기공개폐(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20%EC%8B%A4%ED%97%98%20-%20%EA%B8%B0%EA%B3%B5%EA%B0%9C%ED%8F%90(The%20Mechanisms%20of%20Stomatal%20Opening)_hwp_04.gif)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hwp( 24 )
Title : 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 서론 :
1. 증산과 광합성
식물의 유기물은 대기의 CO2로부터 기원하므로 이를 위하여 CO2를 충분히 받아 들여야만 한다.
2. 기공 (Stomatal complex)의 구조
1) 부세포 (Subsidiary cell): 공변세포에 인접하여 기공의 개폐에 영향을 준다. 공변세포는 세포벽의 한쪽이 목화 되어 있고 세포벽의 구조물인 셀룰로스 섬유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세포 내 팽압 증가 시에 기공을 열리게 하는 원리가 된다
그림1. 기공의 구조.
외떡잎 식물의 공변세포는 핵이 양끝으로 퍼져있어 아령모양을 이루며 (A, B, C), 쌍떡잎 식물의 공변세포는 콩팥모양을 하고 있다(D, E, F).
A. D. 측면에서 본 모습.
B. E. 표면에서 본 기공장치의 모습
C. F. 표면에서 본 모습.
1. 공변세포 (guard cell)
2. 부세포 (subsidiary cell)
3. 기공의 개폐 기작
1) 낮 (빛이 있을 경우)
표피세포들 중에서 유일하게 엽록체를 지니고 있는 공변세포에서 광합성이 수행되어 여러 유기산들이 합성되고 blue light에 의해 활성화되는 H+-펌프에 의해 H+ 농도구배를 이루게 된다 이를 주요 원동력으로 사용하여 K+과 같은 이온이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공변세포 내의 삼투압이 커지게 되며 주변의 물이 공변세포 내로 …(To be continued )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생물의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실험 기공개폐 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자연과학,일반생물학,실험,기공개폐,The,Mechanisms,of,Stomatal,Opening,생물의학,실험결과
순서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test(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실험결과/생물의학
[자연과학] 일반생물학 test(실험) - 기공개폐(The Mechanisms of Stomatal Opening)
다. 식물 종에 따라 다양한 수가 존재하며, 없을 수도 있다아
2) 공변 세포 (Guard cell): 엽록체가 존재하며 광합성도 일어난다. 이를 위해 존재하는 특수 구조물이 stomatal complex이다. 물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hair가 발달되 나 표피 안으로 함몰된 구조를 이루기도 한다. 이때 자신이 필요로 하는 물의 유실은 최대한 방지하여야 하며 광합성과 호흡 사이의 조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