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연결과 군사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6 13:40본문
Download : 경의선 연결과 군사 문제.hwp
유엔사 측은 관할권 대신에 이 구간에 관한 실질적 관리권(Administration)을 이관한다는 제안을 하였고 이를 북측은 받아들였다. 99년...
설명
3. 경의선 연결 구간의 관할권 문제
10월 초 경의선 연결 구간 관할권 협의를 위한 유엔사-인민군 장성급 회담이 개최되었다. 99년... , 경의선 연결과 군사 문제기타레포트 ,
10월 초 경의선 연결 구간 관할권 협의를 위한 유엔사-인민군 장성급 회담이 개최되었다. 특히 이 구간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유엔사령부의 개입 여지가 없어질 수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99년 중단된 이래 처음 열리는 회의였다. 결국 유엔사령부 측은 유엔사의 현상 유지를 전제로 할 경우 관할권의 완전 이관은 어렵다고 판단한 것을 보인다. 주목되는 것은 이 회의에서 북측이 경의선 연결 구간에 대하여 남측이 완전한 관할권(Jurisdiction)을 가지도록 유엔사령부가 그 권한을 이관하도록 요구한 사실이다. 특히 이 회담은 북한측이 휴전체제에 다시 복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즉 휴전체제가 유지되는 한 법적인 관할권은 유엔사령부가 최종적으로 보유하되 실질적인 관리권만을 남측에 이관한다는 결정이었다.
3. 경의선 연결 구간의 관할권 문제
,기타,레포트
순서
레포트/기타






경의선 연결과 군사 문제
3. 경의선 연결 구간의 관할권 문제 10월 초 경의선 연결 구간 관할권 협의를 위한 유엔사-인민군 장성급 회담이 개최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는 휴전체제의 유지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는 變化(변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 나아가 이 지역에서 분쟁이 일어날 경우 유엔사…(省略)
Download : 경의선 연결과 군사 문제.hwp( 13 )
다. 다만 유엔사령부 입장에서는 경의선 구간에 관한 관할권을 완전히 한국 측에 이관할 경우 우선 유엔사령부의 존재 이유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