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16:57본문
Download : [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hwp
2, 법률행위의 무효: 법률행위의 무효는 불성립과 구별하여야 한다.
〔5〕 무효행위의 전환(전환)
1. 의의: ㄱ, 무효행위의 전환이란 어떤 법률행위가 당사자가 본래 의욕한 대로 법률결과 가 생기지 못하는 무효인 경우에, 그 행위가 다른 법률행위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당사자가 그러한 무효를 알았더라면 다른 법률행위를 하는 것을 의욕 하였으리라고 인정될 때에 그 다른 법률행위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다(제138조).
ㄴ,…(省略)
![[법학]%20민법총칙%20-%20법률행위의%20무효와%20취소%20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B%AF%BC%EB%B2%95%EC%B4%9D%EC%B9%99%20-%20%EB%B2%95%EB%A5%A0%ED%96%89%EC%9C%84%EC%9D%98%20%EB%AC%B4%ED%9A%A8%EC%99%80%20%EC%B7%A8%EC%86%8C%20_hwp_01.gif)
![[법학]%20민법총칙%20-%20법률행위의%20무효와%20취소%20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B%AF%BC%EB%B2%95%EC%B4%9D%EC%B9%99%20-%20%EB%B2%95%EB%A5%A0%ED%96%89%EC%9C%84%EC%9D%98%20%EB%AC%B4%ED%9A%A8%EC%99%80%20%EC%B7%A8%EC%86%8C%20_hwp_02.gif)
Download : [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hwp( 86 )
[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레포트/법학행정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1〕무효의의
1, definition : 법률행위의 무효라 함은 법률행위가 성립한 당초부터 법률상 당연희 그효력이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다. 따라서 당사자 사이에서는, 무효인 행위가 물권행위이면 물권변동은 일어나지 않고 채권행위이면 채권은 발생하지 않는다.
〔3〕 무효의 종류
1, 절대적 무효: 법률행위 당사자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그박의 제3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도 효력이 없는 것을 말한다.
〔2〕 무효사유
민법은 원시적 불능의 법률행위(제535조), 반사회질서행위(제103조),불공정한 법률행위(제104조), 허위표시(제108조) 등을 무효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의사무능력자의 법률행위, 강행법규에 위반하는 법률행위도 무효이다.
상대적 무효: 특정인에 대하여는 무효를 주장할 수 없는 것이다.
법률행위의 무효는 당연 무효가 원칙이다. 법률행위의 성립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아 그 법률행위가 당초부터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불성립 이라고 한다.
2, 당연 무효, 재판상의 무효
당연 무효: 법률행위를 무효로 하기 위한 별도의 행위 절차를 요하지 않고 법률상 당연히 무효인 것을 당연 무효라고 한다.
무효는 절대적 무효인 것이 원칙이다.
재판상의 무효: 무효의 결과가 일반 제3자에게 중대한 influence을 미치게 되는 때에는. 재판에 의한 무효선고에 의하여 비로소 무효로 되는 경우
〔4〕 무효의 결과
법률행위가 무효인 때에는 그 법률행위의 내용에 따른 법률결과 가 생기지 않는다. , [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법학행정레포트 , 법학 민법총칙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설명
순서
법학,민법총칙,법률행위의,무효와,취소,법학행정,레포트
[법학] 민법총칙 -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