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printmaking)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14:18
본문
Download : 1234.hwp
해인사 소장의 〈석가고행도 釋迦苦行圖〉(1501)·〈아미타삼존도〉는 일반 불화의 형식을 지닌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그밖에도 석씨원류(釋氏源流) 화엄경판화, 금강경판화, 부모은중…(skip)
설명






1. 개요, , 2. 판화의 종류, , 3. 판화의 제작, , 4. 판화의 歷史(역사), , 5. 현대 판화, , 6. 한국의 판화, , 7. 서지사항, data(자료)크기 : 24K
레포트/예체능
Download : 1234.hwp( 71 )
판화,版畵,printmaking,판화의역사,판화의종류,예체능,레포트
판화(printmaking)의 특징.
다. 이 시대에 간행된 예수시왕경판화·화엄경판화 등은 고려의 대장경 제작에 따른 뛰어난 기술축적에서 이룩된 것으로 고려 불화 및 일반 회화에도 적지 않은 effect(영향) 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사회인 조선시대로 오면서 판화제작이 더욱 다양해졌지만 역시 불교판화는 17세기에 성행하다가 18세기에 갑자기 위축되었다. 고려시대의 판화 유품으로는 1007년 총지사(摠持寺) 개판의 〈보협인다라니경〉, 권수의 변상판화, 11세기경의 〈어제비장전판화 御製秘藏詮版畵〉 등 다수가 전해진다.
1. 개요, , 2. 판화의 종류, , 3. 판화의 제작, , 4. 판화의 역사, , 5. 현대 판화, , 6. 한국의 판화, , 7. 참고문헌, FileSize : 24K , 판화(printmaking)의 특징.예체능레포트 , 판화 版畵 printmaking 판화의역사 판화의종류
순서
1. 개요
2. 판화의 종류
3. 판화의 제작
4. 판화의 歷史
5. 현대 판화
6. 한국의 판화
7. 참고한 문헌
한국의 판화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인쇄文化(문화)가 발달했고 신라 750년(경덕왕 9)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본으로 알려져 있다아 이와 같이 선진적인 인쇄기술은 불교의 발달과 함께 더욱 진보되었는데 고려초에 이미 목판인쇄경과 함께 소형의 다라니경판화가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