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의 계산 -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3 13:41본문
Download : 근로시간의계산.hwp
그러나 근로자가 현실적으로 작업에 종사한 시간뿐 아니라 대기시간, 작업준비시간 또는 참가의무 있는 교육시간도 근로시간에 포함된다
종전의 지배적인 견해는 근로시간 concept(개념)에 대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작업상의 지휘감독 아래 있는 시간’ 또는 ‘근로자가 그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지휘감독아래 두고 있는 시간‘ 이라고 定義(정의)하여 왔다.
그러나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추상화 내지 의제하는 것은 무리한 理論구성이고 근로가 반드시 사용자 지시감독 아래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근로시간인지 여부는 당해활동의 ‘업무성’도 지휘감독을 보충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교육시간
(1) 원칙
교육이 사용자의 지시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러한 지시 명령에 근로자가 거부할수 없다면 그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본다.
Ⅱ. 실근로에 부수된 시간의 근로시간 여부
1. 대기시간
대기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는지에 따라 휴게시간인지 근로시간인지가 결정된다
(판례)
의사,간호사,식당 종업원과 같이 손님을 기다리는 것이 본래의 업무인 경우에는 대기시간, 작업도중 저전, 기계고장으로 인한 대기시간, 호텔종업원이 고객을 기다리는 대기시간 등은 포함되나,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자유로이 보내면서 연락이 오면 출근하여 작업하기로 되어있는 호출대기시간은 포함이 안된다
근기법61조3호 규정에 따라 노동부장관으로부터 단속적 근로자로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근기법상 근로시간, 휴일, 휴게관련조항의 적용을 받지 아니한다. 이 경우 특정교육에 참가하는 자에게 고과평가시 가산점을 주는등 유인을 제공한다면 그자체로는 참가를 강제한 것으로 볼수는 없을 것…(skip)
레포트/법학행정
근로시간,계산,법학행정,레포트
순서
근로시간의 계산 -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
설명
근로시간의 계산
근로시간의 계산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 근로시간의계산.hwp( 50 )


다. (업무성보충설)
이러한 의미의 근로시간은 근기법에 특유한 concept(개념)으로 취업규칙/근로계약등에 정하여졌더라도 이를 불문하고 객관적으로 정해진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
Ⅰ. 서설
근기법에서는 휴게시간이 근로시간에서 제외된다는 점만 명시하고 있을 뿐 근로시간의 concept(개념)에 마주향하여 더 이상 규정하고 있지 않다. , 근로시간의 계산 -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법학행정레포트 , 근로시간 계산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