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2 16:06본문
Download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hwp
그리고 주자학과 육왕학 각각 내의 조류들 역시 공부론의 차이에 따라서 그 갈래가 형성되어 왔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퇴계 공부론은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바의 그의 심학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므로, 먼저 퇴계 심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공부론의…(To be continued )
Download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hwp( 15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up주자학에서의퇴계공부론
설명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
레포트/인문사회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up주자학에서의퇴계공부론 , 주자학에서의 퇴계 공부론과 성학십도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는 주자학 뿐 아니라 육왕학을 포함한 송대 이후의 신유학의 일반적인 特性(특성)인데 주자학과 육왕학이라는 신유학의 양대 분파는 근본적으로는 공부론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따라서 본고에서는「성학십도」를 중심으로 퇴계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을 고찰하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그 주자학사적 위상을 점검하기로 한다. 인간 형성의 이론(理論)과 실제의 문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퇴계의 공부론은 자연히 그의 심성정론, 경 사상, 심학 등 기존 연구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주제를 수렴하면서 그의 사상의 핵심을 잘 드러내 줄 수 있고, 따라서 주자학사에서의 퇴계의 위상을 보다 선명히 보여 주는 하나의 실마리가 된다고 판단된다된다. 따라서 주자학에서 인간형성의 이론(理論)과 실제의 문제를 논의하는 공부론 혹은 수양론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된다. 필자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가 지닌 성과와 의미를 존중하되, 특히 공부론의 관점에서 퇴계 사상의 성격과 그 주자학사적 지위를 논해 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퇴계의 사단칠정론 및 리기호발론 등의 리기설 및 심성정론, 경 사상, 혹은 심학을 중심으로 그의 주자학사적 위상과 의미를 說明(설명) 해 왔다.
Ⅰ. 들어가는 말
Ⅱ. 퇴계의 공부론과 심학 및 심법
Ⅲ. 공부론서로서의「성학십도」
Ⅳ. 성학십도에 나타난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
1. 공부과definition 핵심; 소학과 대학 그리고 경
2. 공부의 본원 및 표준 :〈태극도설〉과〈서명도설〉의 의미
Ⅴ. 퇴계 공부론의 特性(특성)과 주자학사적 위상
〈출처〉
주자학은 궁극적으로 인간형성에 관심을 가진다.
퇴계가 주자학의 전개 선상에서의 중심 인물이라는 점은 이론(理論)의 여지가 없다. 필자의 견해로 퇴계의 공부론을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data(자료)는 그의「성학십도」이다. 리기심성의 definition 을 중심으로 한 주자학에서의 우주와 인간에 대한 논의는 결국 올바른 인간형성과 나아가 올바른 사회의 실현이라는 실천적이고 교육적인 문제와 관련해서 의미를 지닌다. 동아시아의 지성사에서 퇴계는 주자학의 수준을 독특한 양식으로써 한 단계 올려 놓는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