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09:33본문
Download :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hwp
지금까지의 시대구분을 정리(整理) 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사의 시대구분을 아는 것은 국어사의 변천과정을 조금 더 체계적으로 기술하게 함은 물론, 국어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국어사의 시대구분은 필요한데, 이러한 시대구분에 있어서 여러 학자들의 관점에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아 따라서 어떠한 논의들이 있고 그 논의들 가운데 어떠한 관점이 더욱 타당한 지에 대한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아
3.2. 각 주장에 대한 근거와 결점
국어사의 시대 구분은 70년대 이래 지금까지 이기문 교수의 《국어사 개설》에서 설정된 것이 학계에서 거의 정설처럼 통용되어 왔다. 목차 1. 학자들별 시대구분
(1) 김형규(1955), 국어사
(2) 이기문(1961), 국어사개설
(3) 최범훈(1985), 한국어발달사
(4) 박병채(1989), 국어발달사
(5) 홍윤표 (1994), 근대국어연구(Ⅰ)
2. 구분법에 의한 분류
(1) 양분법
(2) 3분법
(3) 4분법
(4) 5분법
(6) 6분법
3. 견해 차가 나는 이유
4.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의 내용
국어사의 시대 구분(이기문 1972)
ㄱ. 고대 국어 (원시 ~ 통일 신라)
ㄴ. 중세 국어 (고려 ~ 임진왜란)
① 전기 중세 국어 (고려 ~ 훈민정음 창제)
② 후기 중세 국어 (훈민정음 ~ 임진왜란)
ㄷ. 근대 국어 (임진왜란 ~ 갑오경장)
ㄹ. 현대 국어 (갑오경장 ~현재)
1. 논의 과제(problem)의 중요성
국어사는 국어의 變化에 관한 歷史 또는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을 이르는 것으로써 국어사도 엄연한 歷史로 그 기술에 시대구분이 필요함은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1) 김형규(1955), 국어사
여기에는 대략 다음과 같은 방향이 제시되어 있다아 歷史에 있어서는 정치사적 관점에서 왕조의 변동이나 지배권의 이동을 중심으로 보아 정치사적 관점에서 왕조의 변동이나 지배권의 이동을 중심으로 보아, 신라 고려 이조로 나누고 있으나, 국어사를 논할 때에는 …(투비컨티뉴드 )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hwp( 59 )
[국어학]국어사의시대구분,국어사,국어학사
국어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데 많은 학자의 다양한 견해를 담았습니다>!![국어학]국어사의시대구분,국어사,국어학사 ,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인문사회레포트 ,
국어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데 많은 학자의 다양한 견해를 담았습니다>!!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