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국어사공통]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5 21:40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창제[1].hwp
협찬이냐 친제냐 하는 논의 자체가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일까 하는 것에서부터 부끄러운 수준일지언정(겨우 두 논문을 비교하여 내놓은 졸고일지언정) 나름의 고민이 갖는 의미까지.
3. reference
[국어사] [국어사공통]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은후 근거를 서술하라
설명
다. 전자의 과정을 수행할 능력이 내게 있었겠는가의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이러한 종류의 작업은 회의를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본론에 앞서 이 작업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이미 논의가 거의 정리(arrangement)된 두 논문만을 읽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대립각을 찾아 각각의 논거와 논리, 선택 資料의 정합성 등을 견준다. 나는 쟁점 논의에 필요한 1차 사료를 직접 수집하고 선정, 분석(또한 다른 연구자들의 논의를 충분히 검토한 끝에)하여 나름의 논리 체계 하에 conclusion 을 얻는 절차를 취하지 않았다. 그간의 수많은 논의가 집약된 두 논문을 읽고 비교한 정도일 뿐인 것이다.
-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잡설 없이 과제에서 요구한 것만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이기문 훈민정음 친제론(訓民正音 親制論),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92. 2. 심재기, 한국사람의 말과 글, 1985. 3. 금민수, 신국어학사, 1964.
Download : 훈민정음창제[1].hwp( 27 )
2. 심재기, 한국사람의 말과 글, 1985.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data(자료)] 1. 이기문 훈민정음 친제론(訓民正音 親制論), 서울대학교한국文化(culture) 연구소, 1992.
1. 세종의 친제임을 주장한 논문에 대한 사실근거
- 잡설 없이 project에서 요구한 것만 다양한 data(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1. 세종의 친제임을 주장한 논문에 대한 사실근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3. 금민수, 신국어학사, 1964.
-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data(자료)입니다
순서
2. 명분상의 어제임을 주장한 논문에 대한 사실근거
훈민정음, 세종의친제, 명분상의어제, 친제, 어제, 훈민정음의창제,
![훈민정음창제[1]-6648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1%5D-6648_01_.gif)
![훈민정음창제[1]-6648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1%5D-6648_02_.gif)
![훈민정음창제[1]-6648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1%5D-6648_03_.gif)
![훈민정음창제[1]-6648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1%5D-6648_04_.gif)
![훈민정음창제[1]-6648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1%5D-6648_05_.gif)
지금부터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한 쟁점 중 하나인 세종 친제설과 명분상의 어제설 논의(논의가 집약된 논문)를 약(略)하고 그 바탕 위에 나의 생각을 펼쳐보려 한다. 한계란 다음과 같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인 것을 선택, 지지하는 수준밖에 안되는 이 작업은, 단편적이고도 성급한 추측, 논리보다는 직관을 가지고 어느 한 편의 세(勢)를 더하는 꼴밖에 되지 않겠는가. 나아가 이런 부끄러운 수준의 고민이 왜 필요할까 하는 회의까지... 그래서 무엇보다 이 작업의 의미를 찾는 일이 더 중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