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 성리학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6:10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hwp
실성이란 사람다운 본성을 잃어버렸다는 뜻입니다. 뒷날 자신의 호를 퇴계라고 지은 것도 이 같은 생각을 잘 드러낸 것이다
.
순서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report - 성리학의 발전
사람에 따라서는 성리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과 감정을 서양철학에서 말하는 이성과 감성처럼 이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김교빈, 『한국철학에세이』, 동녘 2003, 138쪽
설명
Download :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hwp( 78 )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다. 집안일을 도우며 공부하던 이황은 34세의 늦은 나이에 과거 시험에 합격해 관직 생활을 처음 했다. 이러한 이해는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이 같은 생각은 칸트가 강조한 ‘순수 이성’이라는 표현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본성은 이러한 감정이 일어나기 전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런 구체적인 감정들은 모두 본성에서 나옵니다. 그러나 성리학에서 말하는 본성과 감정은 일원적입니다. 아직 어떠한 구체적인 감정으로도 드러나지 않은 상태가 본성이고, 본성이 어떤 일이나 사물과 만나 밖으로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낸 상태가 감정입니다. 우리는 잔치자리에서 펑펑 울어대거나 부모가 돌아가셨는데도 깔깔대고 웃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가리켜 실성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즐겁다거나 슬프다거나 하는 구체적인 감정이 없습니다.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아버지가 돌아가셨기 때문에 집안 사정이 어려웠으며, 12세 때부터 작은 아버지에게 공부를 배웠다. 서양철학에서는 이성과 감성을 나누어 놓고 본니다. 또는 출근길에 반가운 친구를 만나서 기쁜 감정이 일기도 하고 직장에 나가서 일이 뜻대로 안 되면 화가 나기도 합니다. 현실 속의 인간은 기뻐할 일에 마땅히 기뻐하고 분노할 일에 마땅히 분노하는 존재입니다. 칸트가 말한 순수 이성은 감성과 완전히 분리된 순수한 이성만을 가리키는 concept(개념)입니다. 사람의 모든 감정은 본성에 근거한 것이며 그 본성이 밖으로 드러난 것이 감정일 뿐입니다. 그러나 식사를 하면서 맛있는 반찬을 대하거나 흥겨운 음악을 들으면 즐거운 감정이 일어납니다. 그러니까 그러한 모든 감정은 마음속에 들어 있는 본성이 밖으로 드러난 것 일뿐입니다.
(1) 이황의 생애와 “호”에서 알 수 있는 이황의 성격.
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이황은 1501년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에서 진성 이씨 집안의 막내로 태어났다. 따라서 둘의 관계는 이원적이며 서로 대립적입니다. 그러지 못하면 사람다운 모습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기회만 되면 벼슬에서 물러나 산림에 묻혀 지내려고 했다. 우리가 아침에 막 눈을 뜬 상태나 고요히 명상에 잠긴 상태가 여기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