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co.kr 묵가 철학과 민중 > seminar7 | seminar.co.kr report

묵가 철학과 민중 > seminar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minar7

묵가 철학과 민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08:40

본문




Download : 묵가 철학과 민중.hwp




그는 우(禹)임금의 실천정신과 희생정신을 따르려 노력했다. 그는 바쁘게 유세하고 자기의 이상을 선전하느라 조금도 쉴 틈이 없었다. 전목(錢穆)에 의하면 B.C. 475년에 태어나서 B.C. 392년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 맹자는 묵자를 금수와 같은 존재라고 욕하면서도 “머리끝에서 발뒤꿈치까지 온몸이 다 닳도록 천하를 이롭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맹자(孟子)』, 고자하(告子下)편.
묵가 철학과 민중

.
다. 중국(中國)과학사의 권위자인 영국의 조지프니담이 묵자서를 읽고서 감동하여 중국(中國)과학사를 연구하게 되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Download : 묵가 철학과 민중.hwp( 71 )


순서
묵가 철학과 민중
.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를 창시한 묵자(墨子)는 성이 묵(墨)이고 이름은 적(翟)이다. 묵자가 살아 있을 때는 제후들이 서로 다투어 천하를 요동치던 불안한 시대였다. 따라서 묵자는 분쟁을 제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것을 자기의 주요임무로 삼았다. 그는 일찍이 유학을 공부했으나 유가의 번잡한 예(禮)에 불만을 품고 새로운 학설을 창설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1525_01_.jpg 묵가 철학과 민중-1525_02_.jpg 묵가 철학과 민중-1525_03_.jpg 묵가 철학과 민중-1525_04_.jpg 묵가 철학과 민중-1525_05_.jpg



고 칭찬하는 걸 보더라도 묵자의 천하를 위한 희생정신이 어떠했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아 박문현, “묵가의 겸애와 비공평화론”, [통일전략], 제7권3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7), p.259.
묵자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묵가 철학과 민중
.


묵가 철학과 민중
설명


또한, 묵자는 사상가이면서도 논리학자이고 군사전문가이었다. 그러므로 문자(文子)는 “묵자의 자리는 따뜻할 날이 없었다”고 말한 것이다. 그의 주요 활동 연대는 전국초기(戰國初期)이다. 유가의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묵자도 요ㆍ순ㆍ우ㆍ탕ㆍ문ㆍ무 등의 성왕을 숭상했으며 특히 하(夏)나라의 우(禹)왕을 존숭했다. 노(魯)나라 사람인 그의 생애에 대한 역싸적 기록은 많지 않아 자세한 것을 알기는 어렵다. ‘묵변(墨辯)’이 쓰여진 것은 후기묵가에 의해서지만 이 중에 들어 있는 명변(名辯)의 기본사상은 묵자에게서 온 것이다. 그러므로 묵자의 책에는 전략적 방어사상에 입각한 방어의 전술과 방법이 강조되어 있다아 그가 제출한 방어에 필요한 14개 조건에는 천시(天時)ㆍ지리(地利)ㆍ인화(人和)ㆍ정치ㆍ경제ㆍ외교 등 각개 방면이 포함되어 있다아 묵자는 군사전문가임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이 방면의 인식이 부족하여 그의 군사사상의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아 묵자는 또 뛰어난 과학기술자로 군사무기를 발명하기도 하고 기하학·광학·역학(力學) 등에 관한 창의적인 theory(이론)을 내놓았다. ‘성수(城守)’ 제편에서는 묵자의 탁월한 군사적 식견을 표현하고 있다아 그는 불의의 겸병전쟁은 반대하지만 약자들의 자기방어를 위한 전투는 지지한다.
전체 18,41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mina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