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성장발달 개인보고서 - 영아기, 유아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5 08:57
본문
Download : 성장발달 개인보고서 - 영아기, 유아.hwp
언어발달 영역에서는 ‘전치사를 안다’라는 검사 시행을 거부 하고, 몇 가지 실패한 항목이 있었지만 이 영역 역시 지연이라던가, 주의를 주기에는 무리가 있는 항목들이다. 반면에 부족한 부분으로는 키에 비해 몸무게가 많이 나간다는 것이랑, 영유아 행동observe checklist에서 자신의 성별을 말하지 못한다는 것이 있었다.’라는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통과이고, 그 통과 항목들 중 대상자가 상위 30%안에 드는 항목들이 3가지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운동발달 영역에서 ‘넓이 뛴다’라는 항목을 실패(계속된 시도에도 한발로 걷듯이 뛰었음.)하여 주의를 받았지만, 주의 하나로는 의심스런 발달이라 conclusion(결론)짓지 않기 때문에 대상자인 주oo 여아는 정상적인 발달을 한 것으로 보인다.
동거가족수 : 5명
설명





형제관계 3 명 중 3 째
2)가족형태
이름 주oo 생년월일 11.06.20 2 년 9 개월 성별 여아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성장발달 개인보고서 - 영아기, 유아.hwp( 49 )
성장발달 개인보고서,영아기, 유아기,성장발달
1)아동의 일반적 사항
주oo 대상자는 bibliography과 비교 해봤을 때 bibliography에 맞게 발달한 부분도 있었고, 조금 부족한 부분도 있었다. 우선 활동과 놀이에서 수면을 취할 때 대상자본인이 좋아하는 애기 인형을 꼭 안고 잔다고 하였는데, 이는 자율성의 증진발달의 한 방법으로 ‘어떤 특정 상황이나 행동을 할 때 자신만의 의식을 행하려 하는 것’인데, 알맞게 잘 발달하고 있다는 증거이다.(이 질문은 인터뷰 초반에 이루어진 질문이라 아이가 부끄러워 대답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주oo 대상자의 개인-사회성발달은 아주 정상적으로 잘 진행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 음식을 섭취할 때 좋고, 싫음이 분명한 것 또한 독립성 자기주장을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다.
출생 시 체중 3.12kg 출생 시 신장 50cm 현재 머리둘레 46.5cm
Ⅰ일반사항
동거가족과의 관계 : 부, 모, 2명의 남자형제
아동의 주양육자 : 부모
Ⅰ일반사항 1)아동의 일반적 사항 이름 주oo 생년월일 11.06.20 2 년 9 개월 성별 여아 형제관계 3 명 중 3 째 출생 시 체중 3.12kg 출생 시 신장 50cm 현재 머리둘레 46.5cm 주소 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 2)가족형태 동거가족수 : 5명 동거가족과의 관계 : 부, 모, 2명의 남자형제 아동의 주양육자 : 부모
성장발달 개인보고서 - 영아기, 유아기
주소 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
순서
⦁종합conclusion(결론) : 총 4가지 영역 중 어떤 영역에서도 의심스런 발달이나 검사 불능이 나오지 않았다. bibliography에 따르면 ‘2.5세 정도의 유아는 다른 아이에 대해 남아, 여아로 정확히 말할 수 있게’ 된다고 나오는데, 주oo 대상자는 본인의 성별조차 말하지 못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라고 지적하였다. 개인-사회성 발달에서는 ‘게임을 한다.) 그리고 영유아 가정양육environment(환경) 조사 결과에서는 어머니의 반응과 environment(환경) 조직 그리고 놀잇감의 구비 상태가 특히 좋게 나왔는데, 내 생각에 어머니의 반응이 높게 나온 데에는 대상자의 어머니의 특유의 부드럽고 다정한 성격이 크게 작용한 것 같고, 놀잇감의 구비 상태가 좋은 것은 위로 2명의 형제가 있는 것이 큰 이유가 된 것 같다. 또 성장발달곡선을 봐도 신장은 average(평균)치에 가깝고, 일정한 퍼센트를 따라가며 잘 성장하고 있고, 체중은 마른편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average(평균)으로 잘 자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세운동 및 adaptation(적응) 발달 영역에서는 비록 2개의 실패가 나왔지만 한 항목은 대상자의 나이또래의 아이들이 대부분 못하는 항목이었고, 다른 한 항목은 30%의 아이만이 통과하는 항목이므로 발달상의 결점이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추후에 다시 물어봐야할 necessity need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