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사회 문제 - 자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9 02:22
본문
Download : 한국 사회 문제 - 자살.hwp
사회가 강력하게 통합되어 있을 때에는 사회는 개인을 통제하에 두며, 그들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이 고의로 자신을 버리는 행동을 금지시킨다.
사회학적 요인이다.
나. 이타적인 자살
자살이라는 말의 어원은 라틴어의 sui(자기 자신을)와 cædo(죽이다)의 두 낱말의 합성어이다. 이 정의는 일견 명백하기는 하나 실제로는 여러 문제가 있다아
Ⅰ. 자살의 정의
우리는 옛로마의 장군이며 정치가인 카토의 죽음과 프랑스 혁명 당시 온건한 공화당인 지롱드 당원들의 죽음을 에스키롤과 팔레가 자살로 보지 않았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아 그러나 만약 자기부정과 극기의 정신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없다면, 그보다는 약간 덜 명백하더라도 같은 정신적 특질에 의해서 일어나는 죽음도 자살이라고 불릴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방식으로라면 다른 많은 자살들도 자살의 범주에 속하지 않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과연 자살이란 무엇으로 규정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도 제기되기 쉽다.
Ⅳ. 자살의 Cause
Download : 한국 사회 문제 - 자살.hwp( 97 )
역사(歷史)적으로 보면 에밀뒤르켐은 그의 저서인「자살론」에서 사회통합의 정도와 자살율과의 관계에 대해 논하면서 자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아 “자살이란 그의 행위가 어떠한 결과를 낳으리라는 것을 알면서 희생자 자신이 행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행위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초래되는 죽음이다” 결국 자살이란 자신에 위해를 가하여 스스로 생명을 끊고자 하는 인간의 행동이라 할 수 있다아
설명
이기적 자살은 사회집단에 대한 통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개인이 자기자신보다 중요한 어떤 것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는 느낌으로부터 나오는 삶의 의미를 사회집단이 제공해주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한국, 사회, 문제, 자살, 원인




1.자살의 정의 2.자살의 원인 3.자살에 대한 편견 4.자살의 대처 / 해결방안 5.결 론
3.자살에 대한 편견
그러나 개인들이 사회생활로부터 자신을 격리시키고, 자신의 목적을 공동체의 목적보다 우위에 두지 않는, 다시 말해서 개인의 성격이 집단 성격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지 않는 한, 사회는 해체되지 않는다. 만일 우리가 개인의 자아가 사회적 자아보다 강력하고, 사회적 자아를 희생시키면서까지 주장되는 상태를 이기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면, 우리는 지나친 개인주의로 인한 자살을 이기적인 자살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5.결 론
개인들의 삶 전체가 사회적으로 규정된 지위에 결박되어 있을 경우, 그 같은 지위를 상실하게 되면 개인은 그 집단 내에서 아무런 가치도 지니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기적인 자살은 개인들로 구성되는 사회집단의 통합이 강할수록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 결국 이타적인 자살은 사회통합의 정도가 너무 강력하여 개인이 스스로의 인정을 하지 못하고 전혀 객체화시키지 못하며 자신의 존재근거를 외부에 두는 사회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자살이란 그 Cause 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당사자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자신의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이타적 자살은 너무나도 강력하게 통합되어 있어 독립적인 개별적 존재는 아무런 의미도 지니지 않은 집단에서 발생한다. 자아개념이 사회적 지위와 집단성원의식과 매우 강하게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이 집단으로부터 독립된 존재라는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개인주의의 강화로 인한 지나친 객체화가 자살을 부르는 것이다. 즉 사회는 개인이 죽음을 통해서 자신의 의무를 회피하는 것을 막는다. 개인이 속하는 그룹이 약화될수록, 개인은 그룹에 덜 의존하게 되며, 그가 자신에게 더욱 의존하면 할수록 그는 자신의 이해관계에 근거한 행위의 기준 이외의 다른 기준을 인정하지 않게 된다된다. 왜냐하면 후자와 전자의 차이는 약간의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에밀뒤르켐은 자살의 Cause 을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집단에서 그를 따뜻하게 받아들여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한 Cause 이다고 보고 있다아 에밀뒤르켐은 자살의 Cause 을 세 가지로 들고 있다아
[사회] 한국 사회 문제 - 자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1.자살의 定義(정의)
3) 이기적인 자살
이러한 이타적인 자살은 분명한 자살의 성격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타적 자살이 우리가 존경심과 감격을 가지고 명예를 부여하는 행동의 범주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흔히 이것을 자살로서 간주하려 들지 않는다. 2.자살의 원인(原因)
순서
4.자살의 대처 / 해결방법
집합적인 힘이 자살을 가장 잘 제한하는 요소중의 하나라면, 그 힘의 약화는 자살의 증가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