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09:56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hwp
Download :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hwp( 79 )
맹자는 여기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그런데 외모나 감각기관에만 공통점이 있을까? 그런 것이 아니라 마음에도 공통점이 있으며, 이것이 바로 사람들의 도덕적 품성이라는 것이 라는 것이다. 그 까닭은 모든 사람의 발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맹자는 사람의 겉모습에 공통점이 있다고 했고 맛을 보고 소리를 듣고 모습을 보는 데도 공통점이 있다고 했다. 글자대로 풀면, 성의 본래 뜻은 ‘마음속에서 생겨난 자연스러운 것’ 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런데 마음속에는 도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생리적 욕구와 감정이 같이 들어 있다아 원시 상태에서 인류가 본 자신의 모습은 도덕적인 면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을 채우고 있는 내용을 본다면, 정반대인 셈이다.
설명
.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둘째, 착해질 수 있는 요소와 악해질 수 있는 요소가 동시에 들어있다아
레포트(report)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첫째, 본래는 착한 요소도 없고, 약한 요소도 없다
‘맹자’ 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견해가 introduction 되어 있다아
.





.
맹자는
공자가 살던 시기에도 인간의 본성에 대한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중심 주제는 아니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셋째는, 날 때부터 본성이 착한 사람도 있고, 나쁜 사람도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면 맹자의 주장은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을까?
맹자는 용자라는 사람의 말을 인용하면서, 만일 어떤 사람이 누구를 위해 신발을 만들어 준다고 할 때, 그 사람의 발 크기를 모른다고 해서 신발 모양을 삼태기처럼 만들지는 않는다고 한다. 본성론은 맹자에 이르러 철학의 중심주제로 자리 잡았다. 이 같은 생각은 맹자 무렵까지도 계속 이어져 왔다. 맹자의 이러한 주장은 공자가 사람의 본질로 내세운 사람다움, 즉 인(仁)은 체계화한 것이라고 평가된다된다. 그보다 생리적인 면과 감정적인 면이 더 자연스러운 본질로 보였을게 당연하다.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순서
다. 도덕성을 인간의 본질로 본 맹자의 성선설은 그 때까지 내려온 인간의 자기 규정을 뒤엎은 혁명이었다. 맹자 이전에는 어떤 것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을까? 성(性)은 심(心)과 생(生)을 합쳐 만든 글자이다. 맹자 당시에 인간의 본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들이 있었을까?
이러한 주장들에 맞서 맹자는 확신에 찬 목소리로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고 했다. 공자는 “인간의 본성은 서로 비슷한데,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 진다”라는 말을 했을 따름 이였다.
이 두 견해는 결과적으로 ‘선’으로도 , 악‘으로도 갈 수 잇다는 점에서 보면 같은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