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08:46본문
Download :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hwp
특징은 교종과 선종의 상호균형, 갈등과 화해로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 入松記」 (안진호편, 「四集合本」, 법률사, 1973, p680)
고려시대는 유교, 불교, 도교가 각기 사상들의 활동이 왕성했던 시기라 할 수 있겠다. . 이종익 「고려보조국사의 연구 : 그 사상체계와 보조선의 특질」 (대정대학 박사학위 논문 1974. 프린트 日本(일본)어)
순서
.
지눌은 스스로 진리에 관한 체험과 시대적 고뇌를 통하여 수많은 선적(禪籍) 경전을 열람하고 그로부터 돈오점수(頓悟漸修)를 비롯한 자신의 독자적인 사상을 체계화 하였다. 조선중기 청허휴정(淸虛休靜) 또한 『삼가귀감(三家龜鑑)』을 통하여 지눌의 종지와 회통정신을 잇고 있다. 이 중에서 우리의 수업주제이기도 한 불교의 진행은 균여가 이끌었던 1기와 의천이 이끌었던 2기, 지눌이 이끈 3기, 태고 보우가 이끌었던 4기로 나누어진다. 최영진 「한국철학사 -16개의 주제로 읽는 한국철학-」(새문사 2009) p97 참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보조국사 지눌
Download :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hwp( 83 )
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리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변란과 민란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정변으로 인하여 종교적인 기강이 무너지고 선종과 교종간에는 극심한 반목과 대립이 일어나던 시기에 살았던 지눌은 한평생 불교계가 해결해야할 문제를 가지고 고민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노력을 기울였다. 김군수찬 「불일보조국사비명」 (「보조전서」 불일출판사 1987) p419
설명
지눌 선사상은 지눌 이후 15국사를 통하여 계승되었다. 청허 이후의 한국의 선사상에 있어 지눌의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근대의 경허성우(鏡虛性牛), 한암(漢岩)의 선사상 또한 지눌의 돈오점수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
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
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지눌 선사상에 있어서 체계란 결과적으로 생겨난 것이지 의도된 것이 아닐것이다. 우리는 이 중에서 주제이기도한 지눌과 의천으로 나누어 그들의 the gist 사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김호성 「한암(漢岩)선사」 (불교신문사편.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1995) p466~467
다. 강건기 「목우자 지눌연구」 부처님세상 2001 p62
.
보고서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지눌의 선은 교(敎) 지향적이며 지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조선초기 나옹혜근(懶翁慧勤)과 무학자초(無學自初)와 함허기화(涵虛己和) 등이 지눌의 선풍(禪風)을 잇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