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역할 정체감 발달理論(이론)(학습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9 16:23
본문
Download :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학습이론).hwp
장난감 총을 가지고 놀던 여아가 그것 때문에 매를 맞거나 기다리던 어머니와의 외출을 제한당한다면, 여아는 총 놀이보다는 어머니가 미소를 보내 주는 인형놀이나 소꿉놀이를 할 가능성이 더 많다.
성역할,정체감,발달이론,학습이론,자연과학,레포트
성역할 정체감 발달理論(이론)(학습理論(이론))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Download :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학습이론).hwp( 89 )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학습이론) ,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학습이론)자연과학레포트 ,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 학습이론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순서
성역할 정체감 발달理論(이론)(학습理論(이론))
성역할 정체감 발달이론(理論)(학습이론(理論))
1. 전통적 학습이론(理論)
스키너(B. F. Skinner, 1938)로 대표되는 전통적 학습이론(理論)은 원래 개인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을 說明(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理論)이 아니다. 부모들은 실제로 아들과 딸의 행동을 대단히 다르게 강화하고 있으면서도 그들을 똑같이 취급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아
처벌은 아동이 원하는 것을 빼앗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주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처벌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억압된 행동이 다시 나타나기 쉬워 스키너는 처벌…(skip)
다.
강화(reinforcement)는 의도하는 행동의 reaction response비율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외부적 environment조건으로 물질적인 것에서부터 무언의 행동까지 대단히 다양하다. 학습이란 `강화 받은 훈련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잠재력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Kimble, 1961)로 定義(정의)된다 학습이론(理論)가들은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변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강화와 처벌 그리고 소거를 중요시한다. 처벌이 效果(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처벌받은 행동이 지속적으로 억제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理論)적 입장은 아동의 성역할이나 성역할 정체감의 획득과정을 잘 說明(설명)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의 성격발달을 說明(설명) 하기 위한 유용한 이론(理論)으로 이미 입증된 바 있다아
학습이론(理論)가들은 프로이드가 제안한 생물학적 characteristic(특성)이나 선천적 경향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인이 지니게 되는 성역할 정체감도 학습이론(理論)가들의 논리에 의하면 당연히 학습의 결과일 수밖에 없다. 여아가 인형놀이나 소꿉놀이를 하면 어머니가 미소 짓고 장난감 총을 가지고 놀면 모른 척한다면, 이때의 미소는 강화의 역할을 한다. 개인이 수행하는 모든 행동은 후천적 학습의 결과라고 생각하는 학습이론(理論)가들은 environment조건의 조작에 의해 어떤 유형의 인간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