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co.kr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 seminar4 | seminar.co.kr report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 seminar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minar4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3 08:47

본문




Download : 090327104746_.jpg





 ◇동남아=인도네시아는 政府(정부)가 중소기업의 IT 사용을 권장하고 누리망 보급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요소다.
 시장이 확대되는만큼 아시아에서부터 멀리 중남미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나라들은 한국 SW 기업에는 未來에 가장 중요한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SW 불법복제율은 2007년에 84%로 베트남과 함께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다른 인접 국가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다만, SW 불법복제가 만연된 것은 SW 시장 진입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SW진흥원의 정책 리포트에 따르면, SW 및 IT 서비스 수요는 2011년까지 연mean or average(평균) 10%대의 높은 성장이 展望(전망) 된다. 2010년까지 政府(정부)부처 온라인(online)화를 진행하는 업무도 병행 중이다.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이에 발맞춰 IT 수요가 증가하다 보니 기초 인프라SW라고 할 수 있는 OS·ERP·DBMS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저소득층 대상 컴퓨터 보급사업 등의 정보화 정책도 눈여겨볼 만한 성장 요소다. 특히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플랜트 및 건설산업 관련 solution(솔루션) 분야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불황에도 소프트웨어(SW) 수요를 확대하는 곳이 있다.[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상위 30개 SW 업체가 전체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핵심 SW는 대부분 MS 등의 글로벌 기업이 공급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패키지SW 시장은 2006년 약 5억달러 수준에서 매년 9.4%씩 성장해 2011년에는 약 8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展望(전망) 된다. 아르헨티나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현지 SW기업들의 present condition부터 파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DC를 비롯한 여러 IT 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남아공의 IT 시장은 2004년 67억달러에서 연mean or average(평균) 7%씩 성장해 월드컵이 개최되는 2010년에는 약 100억달러에 가까운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展望(전망) 된다. IBM과 MS 등 글로벌 기업의 진출과 투자가 이어지는 이유다. 베트남은 현재 대부분의 지방政府(정부) 90% 이상이 누리망 에 접속하고 있으며, 80% 이상이 회계, 문서관리, 개인일정관리 등의 SW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혜택에 힘입어 아르헨티나에는 1000여개의 회사가 약 4만명의 SW 및 서비스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SW 산업 수요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나라의 present condition을 짚어본다.
레포트 > 기타

 그러나 수요가 많은만큼 자국 SW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도 강력하게 펼치고 있다. 싱가포르와는 통신, e헬스, e교육, e커머스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정보 인프라스트럭처 개발, △ICT 인력 자원 개발, △법 및 제도 정비를 기반으로 2025년 지식 기반 사회 건설을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오일 머니를 기반으로 전자政府(정부) 및 IT 인프라 확충에 나선 것. 政府(정부)는 적극적으로 전자政府(정부) 사업을 추진하고, 금융·에너지 기업들도 정보화를 서두르면서 HW·SW·IT 서비스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노동 숙련도가 낮고 사회간접자본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정치적 안정과 저렴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강점이다. 농업·교육·의료 등의 분야에서도 IT 도입이 확대되면서 관련 solution(솔루션) 수요도 늘었다.
다. 쿠웨이트는 전자政府(정부)를 추진하고 전자주민증을 도입하면서 IT프로젝트를 담당한 정보개발국을 설립했다.
[SW 글로벌 스타를 향해] (10-2부) ②SW 수요 확대처를 찾아라

 카타르의 패키지SW 시장은 2006년 4300만달러에서 매년 10.5%씩 성장해 2011년에는 7000만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Japan은 베트남 IT 시장의 가능성에 주목해 일찍부터 베트남과 IT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UAE의 SW 시장은 2006년 2억7000만달러 수준에서 매년 12.6%씩 성장해 2011년에는 5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政府(정부)가 주도해 IT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자政府(정부)를 구축하는 나라들이다.
 이러한 사업으로 인해 SW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10년 월드컵 개최로 스포츠 정보화, 영상 및 보안 시스템, 디지털방송 시스템 분야에서 SW 특수가 예상된다. SW 개발을 하는 자국 내 회사들에 세금 감면 혜택을 주어 약 170개 회사가 혜택을 보고 있다. 政府(정부)의 투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경영정보화 시스템 도입이 확대되면서 SW 시장이 꾸준히 증가했다.
 카타르도 전자政府(정부) 구축에 적극적이다.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아르헨티나는 2001년 국가부도 이후 강력한 경제정책과 자원·농산물 수출 호조에 힘입어 경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중 SW 시장은 2004년 12억달러 규모에서 매년 7.9%씩 성장해 2010년에는 19억달러 규모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UAE 등 중동 국가의 IT 수요가 쏟아지고 있다. 2011년까지 인력이 약 7만명으로 늘어나고 시장과 수출규모도 두 배가량 증가할 展望(전망) 이다.

Download : 090327104746_.jpg( 81 )


list_blank_.png,
 사우디아라비아는 2007년부터 8억달러 투자 계획을 수립해 전자政府(정부) 구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식 기반 사회 및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60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해 지식경제시티와 IT파크 건설에 나섰다.
순서
 전자政府(정부) 사업 추진을 통해 政府(정부)의 정보화를 앞당기고 이를 통해 민간의 정보화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매력적인 요소다. SW 개발, 디자인, 생산 및 적용, 시스템 등을 지원하며, 투자 시점의 세제를 그대로 인정하는 재무안정 기간을 2014년까지 유지하게 했다.
 베트남 역시 政府(정부)가 적극적으로 IT 및 SW 육성 정책을 추진하는데다 인력이 풍부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기업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SW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SW 파크 설립을 비롯한 SW 분야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국민정보화촉진 계획을 통해 100만대 이상의 PC를 가정에 보급해 정보 서비스 이용을 확대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UAE는 중동지역의 ICT 허브로 육성한다는 전략(戰略) 아래 전문 인력 양성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실시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IT를 활용할 것을 장려했다.
설명
 한국SW진흥원은 보고서에서 “중동·중남미·동남아 지역의 전자政府(정부) 수요를 중심으로 SW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이러한 시장 공략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체 18,32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mina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