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기 민의 요역부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18:54
본문
Download : 고려시기 민의 요역부담.hwp
그런데 역사(歷史)가 있을 때 목재나 석재 등에 재료를 마련하고 운반하는 것이 큰 고역인데 이를 위해서 주로 경기·양광·교주민이 징발되었다.
머리말
1) 謠役의 종류 2)부과의 대상
①工役의 내용 3)수취체제
②貢役과 輸役의 내용 맺음말
③謠役 동원의 구분
1)요역의 종류
①공역의 내용
우선 요역의 형태는 공역, 공역, 수역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아 공역이란 각종 토목공사의 역으로 공역은 《고려사》 최충전에서 ‘서북 주진의 남자는 요역으로 피곤하니 성지를 수리하는 외에는 공역을 금지하라’고 상주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아 궁궐, 사찰, 관아의 영조 및 산릉역, 조선의 역, 하천 제방의 축조 등 많은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장기간이 소요되고 대규모의 노동력이 필요한 것이므로 요역의 형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아
고려시기에 토목공사가 특별히 많이 영조된 배경 중의 하나는 지리도참설과 불교의 융성을 들 수 있다아 불교의 융성은 수많은 사찰과 불상 및 탑을 조성하게하여 국초부터 사원의 영조가 성행하였다. 고려시대는 특히 외환이 많았던 시기이므로 보국의 거점인 축성을 위해 수많은 노동력이 동원되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토목공사는 역사(歷史)를 수행할 때 기술적인 작업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민의 요역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공사에 얼마나 많은 노동력이 동원되었는지 기록에 남아있는 것이 없으나 전국적으로 엄청난 요역이 민중들에게 부과되었을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려말기까지 계속되어 그 부담이 고스란히 백성들에게 전가되었고 또한 승려의 사역도 결국 백성에게 요역으로 부가되어 부담이 되었다.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고려시기 민의 요역부담.hwp( 76 )
설명






고려시기 민의 요역부담
고려시기 민의 요역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아본 글입니다. 현종 20년에 완성된 개경의 나성축조는 政府 23만 8천명, 공장 8천 4백명이 동원되어 20년만에 끝난것이고 이에 비하여 몇 십배나 더 큰 공사인 천리장성의 축조는 덕종 2년에 스타트하여 정종 10년에 완공되었다. 경기는 국왕이하 문무백관이 거주하며, 종묘·궁궐·관사 등이 존재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공역도 다른 지역에 비해 빈번했을 것인데, 그때마다 먼 곳의 주민을 징발하기보다 자연히 왕도에서 가까운 경기, 양광, 교주민을 징…(drop)
고려시기의민의요역부
레포트/공학기술
다.고려시기의민의요역부 , 고려시기 민의 요역부담공학기술레포트 ,
고려시기 민의 요역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history적 사실에 대해 알아본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