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plan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7 16:41
본문
Download : 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hwp
ACM의 주요활동은 엑세스권 확보를 위한 지역공동체 구축, 정치적 제도적 환경 마련, 공공교육의 실시 및 네트워크 강화, 엑세스 program 제작 지원, 홈타운 미디어 페스티벌, 모니터활동 등 여섯 개 부문으로 나눌 수 있따 이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여섯 번째 활동이 연대 및 culture활동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따
지역 미디어센터가 활성화되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포맷의 엑세스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미디어센터 연합체도 가능해질 텐데, ACM의 경우 엑세스 채널을 확보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그에 유사한 내용의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ACM은 각 지역 미디어센터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 조직이 민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원활동가를 파견해 돕고 있따 ACM의 활동은 엑세스 program 제작을 위한 기술적 보조는 물론 정치적인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각 분야의 …(省略)
순서
up미디어센터및독립영화전용관설립과운영plan






,인문사회,레포트
다.
설명
< 차 례 >
I. 서론 5
1. 문제의 제기 5
2. 연구주제 및 보고서의 한계 6
II. 독립 영화 미디어센터 설립을 위한 세 가지 배경 8
1. 사회·culture적 배경: culture적 공공영역과 시민(Citizen)운동의 부상 10
1) 공공영역의 위상과 의의 10
2) 한국에서의 공공영역 논의: culture적 공공부문·공공영역 13
3) 90년대 이후 한국의 시민(Citizen)사회운동과 culture운동 15
4) 보편적 서비스와 공적 접근 17
5) culture적 자유와 커뮤니케이션 권리의 보장 19
6) 아래로부터의 미디어 민주주의 21
2. 사회기술적 토대의 형성: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첨단영상culture산업 22
1) 디지털 시대 22
2) 디지털의 特性(특성) 24
3) 디지털영상culture와 영화 27
4) 저예산 디지털 영화의 등장과 활성화 31
5) 영상 미디어 공동체의 필요성(必要性) 33
3. 독립 영화 운동의 발전과 성과 34
1) 단편영화 34
2) 독립 영화의 관념들 35
3) 우리 나라에서의 독립 영화의 발전과 위상 37
4) 소결: 독립 영화 미디어센터의 기능과 역할 40
III. 미디어센터 설립과 활동의 사례(instance) 43
1. 해외 사례(instance) 43
1) ZKM(Zentrum fur Kunst und Mediatechnologie : 독일) 43
2) Artec (Arts Technology Center : 런던, 영국) 44
3) SCCA (Soros Foundation Fine Arts Documentation Center : 헝가리) 46
4) ICC (InterCommunication Center : 동경, 일본) 47
5) MMAAC (Midwest Media Artists Access Center : 미네소타, 미국) 48
6) 키친 (The Kitchen Center for Video, Music, Dance, Performance and Literature) 49
7) 911 미디어 아트센터 49
8) GRCAC (그랜드 래피즈 공동체 액세스 센터) 53
2. 우리 나라 미디어 설립을 위한 움직임들 56
1) <안양 미디어센터 - adolescent(청소년) 수련관> 56
2) 대전 미디어센터 - 대안매체 설립 위원회 58
3) 성남 미디어센터 - 시민(Citizen)영상제작단 60
4) 청주 시네오디세이 -민예총 영화위원회 62
5) 소결 64
IV. 우리 나라 미디어센터 설립을 위한 제도적 노력 66
1. the twenty-first century 공공culture기반시설로서의 국·공립 미디어센터 설립 취지 66
2. 미디어센터 설치법 제정 및 사업계획 67
1) 공공culture기반시설로서의 공공미디어센터의 정이 67
2) 미디어센터의 주요 역할 67
3) 미디어센터의 주요 사업 68
4) 미디어센터의 유형 및 규모 69
5) 미디어센터 설립을 위한 관련 법과 제도의 정비 69
6) 박물관/미술관 진흥법을 준용한 <미디어센터 진흥법> 70
V. 독립 영화 미디어센터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안 78
1.미디어센터의 주요역할 78
2. 미디어센터 주요사업 80
3. 미디어센터 조직구성(안) 80
4. 미디어센터 운영계획 80
5. 시설 및 기자재 81
6. 예산안 85
7. 미디어센터 운영 예산안 91
8. 연도별 단계적 운영방안(方案) 94
VI. 결론 101
㉰ 연대 및 culture활동 - 세 번째 연대 및 culture활동은 비판적 시청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가능해진다.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자료입니다. 미국 전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전국민의 전자미디어에 대한 접근권 보장을 위해 공공교육의 실시, 법적·제도적 환경 마련, 연대조직의 형성 그리고 지역조직의 활성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따 은혜정, ‘ACM의 활동과 미국 시민(Citizen)미디어 운동의 現況(현황) ’, 방송진흥원(http://www.kbi.re.kr) 1999년 11월호. 현재 케이블 TV를 통해 방영되는 ACM에 의한 PEG 엑세스 채널은 각 지역의 종교단체, 친목 혹은 자선단체, 지歷史(역사)회의 정당과 고등학교, 대학교, 크고 작은 이익 단체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퍼블릭 엑세스 운동을 이끄는 ‘ACM(Alliance for Community Media)`는 1천 개 이상의 공공, 교육, 政府(PEG; Public, Educational and Government) 엑세스 조직을 대표하는 미국의 전국적인 비영리 회원조직이다.up미디어센터및독립영화전용관설립과운영방안 , 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plan에 관한 연구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hwp( 42 )
미디어센터 및 독립영화 전용관 설립과 운영plan에 관한 연구자료입니다.